군사무기 및 지식
[스크랩] 대잠수함 유도무기 체계
수리사바하요
2006. 3. 31. 23:18
 |
 |
2003년 3월 21일 밤 이라크전 개전에서 페르시아만 바다에 위치한 미국의 전투함갑판아래 수직발사대로부터
순항유도탄이 불을 뿜으며 발사되어 이라크로 향하여 날아가는 장면이 아직도 생생하다. ’91년 1월~3월의 걸프전과는 달리 현대전은 점점 원거리
정밀 타격전에 적합한 무기체계 적용에 따라 성공여부가 달려 있다. 현대의 해전에서 주력함정에 위협적인 무기체계는 적의 공대함 무기와
함대함무기, 적 잠수함의 대함어뢰를 들 수 있다. 최신 대공 유도무기 및 대함 유도무기는 사거리가 확장되어 원거리 공격이 가능하고 자함의
대응능력 향상과 함정탑재무기도 은폐(Stealth)개념이 적용되어 함정내부에 내장 설계되어 방호능력이 향상되었다. 대잠전에서도 음탐장치의
개량으로 장거리에서 적 잠수함의 수중탐지가가능하므로 원거리에서 적 잠수함 공격이 가능한 유도무기체계 개발이
필요하게되었다. | |
대잠유도무기(장거리대잠어뢰)체계는 중어뢰를 무장한 적 잠수함의 어뢰 사거리 밖의 원거리에서 적 잠수함을 탐지한 후
신속한 공격이 가능한 유도무기체계로서 최근 개발이 완료되어 구축함에 탑재된 견인소나(예인선배열소나)나 헬기, 초계기와의 합동작전으로 대잠수함
탐지능력이 증강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이러한 증가된 탐지능력을 활용한 장거리 대잠공격 무기체계를 개발하여 보유하므로써 원거리 적잠수함에 대한
대응전력체계를 효과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다. 대잠유도무기체계는 어뢰가 내장된 유도탄을 발사관 속에 장입된 상태로 함정갑판 아래 설치된
수직발사대에 탑재하여 운용시 수직으로 발사시키는 유도무기체계이다. 체계 구성은 유도탄체계와 수직발사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유도탄체계는
어뢰부, 기체부, 유도조종부, 추진부 및 발사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직발사체계는 수직발사대와 발사대 상태점검 및 수직발사를 제어하는
수직발사제어기와 함정 전탐실에 위치하여 함정전투체계와 연동되어 있는 발사통제 콘솔로 구성된다. 유도탄을 발사하여 유도탄이 발사대를 이탈한
후에는 유도탄 후반에 위치한 추진기관 후방 노즐부위에 있는 추력방향조종장치(TVC : Thrust Vector Control)를 사용하여
표적방향으로 급선회 한 다음 추력중단장치(TCO : Thrust Cut-Off)를 사용하여 추진기관(Booster)을 분리하고 목표지점으로
유도조종 비행한 후 어뢰를 표적해역에 투하한다. 이때 어뢰에 부착된 낙하산은 입수속도를 경감시키며 어뢰 전면의 두부덮개는 해면 입수시 어뢰
전면의 음탐부를 입수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바다에 입수 후에는 어뢰의 고유기능에 의해 자체동력원을 활성화한 후 적 잠수함을 탐색하고 포착되면
추적하여 공격한다. 수직발사체계는 발사대의 각종기능을 점검하고 함정의 전투체계와 항법/자세기준체계로부터 표적 및 자함의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탄도를 계산하고 교전계획을 생성하며 유도탄 발사를 통제한다. 대잠유도무기체계는 ’95년도에 구축함 무기체계로 선정되었고 ’99년도에
국내개발로 결정되어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하기 시작한 체계로 발사대는 함정 갑판아래 은폐되어 있고 전방위 주야간 발사가 가능하며 유도탄은 미국의
VLA보다 장사정 거리와 높은 탄착정확도를 갖도록 개발 중이다. 대잠유도무기체계가 개발되면 우리의 구축함이 어느 곳에서도 적 잠수함에 대한
대응체계를 가지게 되므로 성공적으로 작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해군의 전력증강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
|
대잠유도무기체계 구성 |
대잠유도무기체계
운용개념 | |
출처 : 어랑의 거친 항해일지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