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한번쯤 보신 기사겠지만 복습하는 의미로 다시한번들 읽어보세요 ^^
연아양 얘기만 하자구여~~
헬렌 엘리엇 기자는 종합 스포츠 칼럼니스트로서
몇몇 스포츠의 명예의 전당에도 헌액된 미국의 유명 스포츠기자입니다.
주로 LA타임즈에 글을 쓰는데,
지난 LA월드에서
여싱 쇼트와 프리가 끝난 후 각각 쓴 그녀의 기사입니다.
필립 허시만 주로 얘기하게 되는데,
북미에서 열리는 올림픽을 앞두고,
피겨계의 주요 입(심)들에 대해서 알아두면 좋을 것 같네요.
기사는 이미 엄청 많이 보신 것들이지만,
좋은 건 또 봐도 좋으니까~~~
(1)쇼트 후,
http://www.latimes.com/sports/la-sp-elliott-skate28-2009mar28,0,7488419.column
'Brian-Brian' rivalry gives South Korean skater some competitive insight
“브라이언 대 브라이언”의 라이벌 경쟁이 한국의 스케이터[김연아]에게 경쟁[경기]할 수 있는 통찰력을 주다.
Kim Yu-Na is coached by Brian Orser of Canada, who waged a memorable battle with the United States' Brian Boitano at the 1988 Calgary Olympics.
김연아는 1988년 캘거리 올림픽에서 미국의 브라이언 보이타노와 잊을 수 없는 전투를 벌인 캐나다의 브라이언 오서에게 코치를 받고 있다.
Helene Elliott
March 28, 2009
Kim Yu-Na knows figure skating history as well as she knows how to land crisp triple-triple jump combinations and bend her body into swift and supple spins, which is to say extraordinarily well.
The South Korean teenager, who performed a mesmerizing short program Friday to separate herself from the field at the world championships, is coached by Brian Orser, the Canadian entry in the "Battle of the Brians" that was played out at the 1988 Calgary Olympics. His nemesis was U.S. champion Brian Boitano, who won the gold medal on Canadian ice on the strength of a 5-4 judges' decision in the free skate.
Kim hadn't been born when Orser and Boitano traded world championships, but Orser has told her about the competitions he lost to Boitano and the ones he won and the thin margin that often made the difference.
He did it not out of egotism but to give her insight into the mental strength she will need as she tries to unseat reigning world champion Mao Asada of Japan, her most frequent and fervent rival.
"He was a very great skater many years ago. He really helps me to focus on my own programs," Kim said Friday.
"He really knows what I feel in the competitions because of Brian-Brian, and I'm doing that now. So I think he's a very good coach for me."
Orser laughed at her name for that long-ago rivalry and chuckled again when told she had praised his coaching skills.
"Oh, good," he said, smiling. "I still have a job."
He has done his job brilliantly so far, transforming a 15-year-old girl who never smiled when she came to Toronto to seek his help into a polished and poised young woman whose smile and smooth assurance shone through in every move in her "Danse Macabre" program.
More than helping her with jumps or spins, he has taught her not to fear competition. Being pushed can topple you or make you stronger, and Kim doesn't seem the toppling sort as long as Orser is there to guide her and make her feel calm in the most nerve-racking of situations.
"It's just because knowing what I know as far as being through it," he said. "Just how I went through it at that level and the Olympics and the rivalry and the job you need to do.
"When there's somebody else in the rink that knows what you feel, who you can actually go, 'OK, he knows what I feel,' I think it's comforting."
She could scarcely have been more at home than she was on Friday, traversing the ice at Staples Center with lithe and lovely spirals and deft spins. She did get a warning for taking off on the wrong edge for her triple flip, but she still got a positive grade of execution for that jump, part of the record 76.12 points she earned.
Joannie Rochette of Canada was the only skater who didn't get a single minus and she was a solid second with 67.90 points, sandwiched between Kim and a contrite Asada, who turned a planned triple lutz into a faulty double lutz and lost points there to finish with 66.06.
Rochette was strong and forceful but lacked the luminous quality Kim brought to the ice; Asada floated and flowed to "Clair de Lune" but lost to Kim by nearly a full point on the performance/execution segment of the program components and was beaten on every other segment too.
Orser, stationed at the sideboards, jumped every jump with her and swayed his arms in time with hers. His grades of execution might have been lower, but his emotions were no less heartfelt than hers.
"She was fierce and she was on the attack," he said. "The technical aspects of her program were sensational, but she skated with her heart and soul. I'm very proud of her."
As well he should be. She could crack the 200-point mark today, a level no woman has reached.
"It's important we don't get too hung up on being in the lead and the points," he said. "We have to go out and skate a solid long program.
"I want her to skate with the same spirit she did today."
As he spoke in a hallway not far from the ice, Boitano walked by. He's here coaching U.S. women's title holder Alissa Czisny, whose error-filled performance looked even worse compared with Kim's magic.
"She was great," Boitano said of Kim.
"Wasn't she good?" Orser said.
"Oh, my God," Boitano said, his enthusiasm genuine, able, now as then, to appreciate the merits of a wonderful rivalry that has reached its second generation.
김연아는 또렷한[칼날 같은] 트리플-트리플 컴비네이션을 착지하고 몸을 굽혀 빠르고 유연한 스핀을 하는 법을 잘 알고 있는 것만큼이나 피겨 스케이팅의 역사도 잘 알고 있다. 물론 말하자면 (그녀는 아주) 예외적으로 잘 한다.
금요일 월드 챔피언십에서 사람을 홀리는[매혹적인] 쇼트 프로그램을 연기해 스스로를 넘사벽으로 만든 이 한국의 십대는, 1988년 캘거리 올림픽에서 벌어진 “브라이언의 전투”의 캐나다쪽 출전자인 브라이언 오서에게 코치를 받고 있다. 그의 강적은 미국 챔피언 브라이언 보이타노였는데, 보이타노가 프리 스케이트에서 5 대 4로 심판 판정에 힘입어 캐나다의 빙상에서 금메달을 땄다.
오서와 보이타노가 월드 챔피언십을 주고받을 때 김연아는 태어나지도 않았었다. 그러나 오서가 그녀에게 그가 보이타노에게 진 시합들과 이긴 것들 그리고 종종 결정적인 차이를 만든 아주 작은 (점수)차에 대해 얘기해 줬다.
그는 이기심[자만심]에서가 아니라, 그녀와 가장 빈번하게 부딪히고 격렬한 라이벌인 (당시 기준) 현 월드 챔피언인 일본의 아사다 마오를 자리[왕좌]에서 밀어 내려고 그녀가 노력할 때 그녀에게 필요하게 될 정신력에 대한 통찰력을 주기 위해 그런 얘기를 해줬다.
“그는 여러 해 전에 아주 훌륭한 선수였어요. 그는 정말로 제가 제 자신의 프로그램에만 집중할 수 있게 도와 줘요.”라고 (쇼트 경기가 열린) 금요일에 김연아는 말했다.
“그는 ‘브라이언의 전투’ 때문에 시합에서 제가 무얼 느끼는지 잘 알죠. 그리고 제가 지금 그걸 하고 있고요. 그러니까 그는 제게 아주 좋은[딱인] 코치라고 생각해요.”
오서는 오래 전의 라이벌 경쟁에 대해 그녀가 거명하는 걸 보고 웃었고, 그녀가 그의 코칭 실력을 칭찬하자 다시 웃었다.
“오, 좋아요. 저는 아직 일자리가 있는 거죠[안 짤린 거죠].”라고 그는 웃으며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는 그의 일을 훌륭하게 잘 해 왔다. 그의 도움을 구하러 처음 토론토에 왔을 때 결코 웃지 않았던 15세의소녀를 “죽음의 무도”를 연기할 때 모든 동작을 하는 내내 미소와 부드러운[막힘없는] 자신감[확신]이 빛났던 세련되고 위엄 있는 젊은 여성으로 변화시켰다.
그녀의 점프와 스핀을 돕는 것 외에, 그는 그녀에게 시합을 두려워하지 말라고 가르쳤다. 부담을 느끼는 것은 당신을 무너뜨릴 수도 있지만, 또는 당신을 더 강하게 만들 수도 있다. 그리고 그녀를 지도하고 가장 신경을 괴롭히는 상황에서 그녀가 침착함을 느끼게 하기 위해 오서가 (그녀) 곁에 있는 한, 김연아는 (그렇게 쉽게) 무너질 사람 같아 보이진 않는다.
“그 과정을 내가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 레벨[월드 수준]과 올림픽에서 내가 어떻게 그걸 거쳤는지, 그리고 라이벌 경쟁과 당신이 해야 할 일도.”
“당신이 어떤 기분인지를 아는 다른 누군가가 당신이 실제로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 링크에 있다면, ‘그래, 그는 내가 어떤 기분인지 알고 있어.’ 나는 그게 위안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녀는 유연하고 사랑스러운 스파이럴과 스핀으로 스테이플 센터의 빙상을 가로 지르며 돌아다니느라, 금요일에 거의 제대로 쉬지 못했다. 그녀는 트리플 플립의 도약에서 롱 에지 경고를 받았지만, 그녀가 받은 76.12점의 일부를 이 점프의 GOE 가산점으로 받았다.
캐나다의 조애니 로셰트 단 하나의 감점도 받지 않은 유일한 선수였고, 그래서 67.90의 점수로, 김연아와 회한의 눈물을 흘리는 아사다 사이에 끼여, 확고한 2위가 되었다. 마오는 원래 계획한 트리플 러츠를 잘못된 더블 러츠로 바꾸어 뛰어 점수를 잃고 66.06으로 마쳤다.
로셰트는 강하고 힘이 넘쳤지만, 김연아가 빙상에 가져온 빛나는 우수성은 부족했다: 마오는 “달빛”에 맞춰서 가볍게 떠다니듯 빙판 위를 흐르듯 움직였지만, PCS의 연기/수행 부분에서 거의 1점에 가까운 점수 차로 뒤지고 다른 모든 부분에서도 또한 연아에게 패배당했다.
사이드보드에서 자리하고 있던 오서는 그녀와 함께 모든 점프를 뛰었고 그녀와 때를 맞춰 팔을 흔들었다. 그의 GOE점수는 (연아보다) 더 낮았을 지도 모르지만, 그의 감정[표현력]은 그녀만큼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것이었다.
“그녀는 맹렬했고 공격적이었죠. 그녀의 프로그램의 기술적인 면은 아주 센세이셔널한 것이었죠. 하지만 그녀는 마음과 영혼을 담아 스케이트를 탔어요. 저는 그녀가 아주 자랑스럽습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그는 그럴만하다. 그녀는 오늘, 그 어떤 여자 선수도 도달하지 못했던 200점을 돌파했다.
“선두에 섰다는 거나 그 점수에 너무 집착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 우리는 나가서 견고한 롱 프로그램을 스케이트 타야 한다.”라고 그는 말했다.
“저는 그녀가 오늘 했던 것과 똑같은 기백으로 스케이트를 타기를 바랍니다.”
그가 빙판에서 그리 멀지 않은 복도에서 말을 하고 있을 때, 보이타노가 옆을 지나갔다. 그는 미국 선수권 타이틀 보유자인 알리사 시즈니를 이곳에서 코치 중이다. 알리사 시즈니는 김연아의 마법과 비교해 훨씬 더 나빠 보이는 실수로 가득찬 연기를 보였다.
“그녀는 대단했어요.”라고 보이타노가 김연아에 대해 말했다.
“괜찮지 않았나요?” 오서가 말했다.
“오 마이 갓!” 보이타노는 그들의 다음 세대해 이른 놀라운, 그때만큼이나 지금도, 라이벌 경쟁의 가치를 평가[음미]할 수 있는 진심어린 열의를 보이며 말했다.
------------------------------------------------------------
(2) 프리 후,
http://www.latimes.com/sports/la-sp-elliott-skate29-2009mar29,0,274860.column
Kim's performance is a thing of beauty
김연아의 연기는 명품[아름다움의 결정체(?)]이다.
* 여기서 a thing of beauty는 존 키츠의 유명한 시 “A thing of beauty is a joy forever"에서 따온 듯?
Korean wraps up title with record score and leaves the rest of the world behind.
한국인 선수가 신기록으로 타이틀을 두르고 세상[피겨 선수들]의 나머지를 따돌리다[앞지르다]
Helene Elliott
March 29, 2009
Every female figure skater in the United States who has Olympic aspirations and did not see Kim Yu-Na win the world championship Saturday night at Staples Center should be required to watch Kim's "Sheherazade" routine before taking to the ice again.
Not simply to remind them they are incredibly far from matching what the 18-year-old South Korean achieved and that they're unlikely to win a medal next February at the Vancouver Olympics.
That's undeniably true, though, after Rachael Flatt's earnest fifth-place finish and U.S. champion Alissa Czisny's 11th-place showing -- three places higher than she stood after her overscored short program.
No, every American woman and every American skater can learn something from Kim's seamless meshing of difficult jumps and intricate spins in a program that boosted her overall total to a record 207.71 points, the first woman to surpass 200 since this scoring system was adopted for the 2005 World Championships.
They should especially note the unruffled calm she displayed in recovering from a sloppy double salchow and finishing her program with supreme confidence.
They should study the way she expressed so much with her arms and carriage and face, creating a mood that entranced a nearly packed house.
The woman who never smiled on the ice until she left her home in 2006 to train in Toronto with Brian Orser couldn't stop grinning Saturday.
"I want to become a remembered skater," Kim said.
No one who saw her routine Saturday will forget it.
The mistake on the salchow, which was supposed to be a triple and was landed badly, was minor and forgettable.
What will linger is the sound of the crowd becoming hushed as she took off for her first element, a triple flip-triple toe loop combination jump, and its collective "oooh" of awe and delight as her blade crunched safely on the ice twice.
"I was very well prepared," Kim said. "While practicing, I have been confident and thought I was going to do well."
Not even she imagined she'd do this well. And consider this: She set that record even though she got no points for her final spin, which was declared invalid because it was not one of the required variations.
As she stood at center ice Saturday night she looked so small to be the object of so much affection, to have inspired a standing ovation, a flurry of flag waving and a torrent of stuffed animals thrown onto the ice in her honor.
But she earned every one of those tributes.
Kim finished more than 16 points ahead of the worthy runner-up, Joannie Rochette of Canada, and more than 17 ahead of 2007 world champ Miki Ando of Japan, who edged teammate Mao Asada for the bronze medal even though Asada landed a rare triple axel as part of her first combination jump.
"For tonight, of course, she skated so good there was no doubt," Rochette said. "And of course, she's a tough competitor."
<중략>
올림픽 열망을 가졌으면서 지난 토요일 월드 챔피언십에서 김연아가 우승하는 걸 보지 못한 미국의 모든 여자 피겨 스케이터들은 다시 빙판에 서기 전에, 김연아의 “세헤라자데” 연기를 볼 것을 요구한다.
단지 그 선수들이 18살의 한국 선수가 이룬 것과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거리가 멀고 내년 2월 밴쿠버 올림픽에서 메달을 딸 가능성도 없다는 걸 그들에게 상기시키기 위해서만은 아니다.
그럼에도, 레이첼 플랫의 착실한 5위 입상과 미 내셔널 챔피언인 알리사 시즈니의 11위 이후에, 그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 되었다. -- (알리사 시즈니의 종합 11위는 그나마 그것도) 쇼트에서 점수를 퍼 받은 후 오른 순위보다 세 계단 상승한 거다.
아니, 모든 미국 여자 선수들과 미국 스케이터들은 고난이도의 점프와 복잡한 스핀들을, 총점을 207.71점의 신기록으로 끌어올려 2005년 월드에서 신채점제도가 처음 채택된 이후로 200점을 넘은 최초의 여자 선수가 되게 만든, 한 프로그램 안에 (그 모든 걸) 김연아가 매끄럽게 조화시킨 것에서 뭔가 좀 배울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은 특히 엉성한 더블 살코 후 냉정을 찾아 더없는 자신감으로 프로그램을 마칠 때 그녀가 보여준 흔들림 없는 침착함에 주목해야 한다.
그들은 그녀가 팔과 자세와 얼굴(표정)을 아주 많이 표현해서 거의 만석인 경기장을 완전히 매료시키는 분위기를 자아내는 방식을 연구해야 한다.
2006년 토론토에서 브라이언 오서와 함께 훈련하기 위해 그녀의 고향을 떠났을 때까지만 해도 전혀 웃지 않았던 이 여성은 토요일엔 환한 웃음을 멈추지 않았다.
“저는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는 스케이터가 되고 싶어요.”라고 김연아는 말했다.
토요일에 그녀의 연기를 본 사람이라면 그 누구도 잊지 못할 것이다.
원래 트리플로 예정됐으나 잘못 착지한 살코에서의 실수는 중요치 않은 잊어도 되는 것이었다.
(대신) 오래 남을 것은 그녀가 첫 번째 요소인 트리플 플립- 트리플 토 룹 컴비네이션 점프를 도약했을 때 조용해졌다가 그녀의 스케이트 날이 얼음 위를 안전하게 두 번 밟았을 때 집단적으로 경외심과 기쁨의 “우우”소리를 낸 것이다.
“저는 아주 제대로 준비를 했어요. 연습하는 동안, 확신이 들었고 그래서 잘 할 거라고 생각했어요.”라고 김연아는 말했다.
(그러나 그런) 그녀조차도 자신이 그렇게 잘 할 거라곤 상상하지 못했다. 그리고 이걸 고려해 보라: 그녀는, 필수 변형동작 중의 하나가 아니어서 무효로 처리되는 바람에, 마지막 스핀에서 점수를 받지 못했는데도 그런 기록을 세웠다.
토요일 밤 그녀가 빙상의 한 가운데 서 있을 때, 그렇게 많은 주목을 받고 기립박수와 여기저기서 요란하게 흔드는 깃발, 그리고 그녀를 축하하며 던져진 억수 같이 쏟아지는 인형 사례를 이끌어내기에 그녀는 너무나 작아 보였다.
그러나 그녀는 그 모든 찬사를 받을 만했다.
김연아는 차점자인 캐나다의 조애니 로셰트보다 16점 이상 앞섰고, 아사다 마오가 자신의 첫 번째 컴비네이션 점프의 일환으로 희소가치가 있는 트리플 악셀을 착지하기는 했지만, 팀 동료인 아사다 마오를 근소한 차로 따돌리고 동메달을 딴 2007년 월드 챔피언 안도 미키보다도 17점이 넘는 점수 차로 경기를 끝냈다.
“오늘밤, 당근, 그녀는 너무나 스케이트를 잘 타서,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리고 또 당연한 얘기지만, 그녀는 벅찬 경쟁자이다.”리고 로셰트는 말했다.
<중략> 미국 여싱들 얘기 블라블라
'연아의 외신 및 해외반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필리핀&미국 블로그 _ 오 마이 갓! 무결점이었어! (0) | 2009.09.28 |
---|---|
[펌][美_블로그]'09월드후기中발췌(원더키디님) (0) | 2009.09.05 |
[펌]비앙게티 여사의 2009 월드 소감 (0) | 2009.04.18 |
LA Times-Kim's performance is a thing of beauty (0) | 2009.04.15 |
[펌]해외 기자의 09 월드 여성 FS 관전기 (0) | 2009.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