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아의 외신 및 해외반응

[뉴욕타임즈]As Kim Raises the Bar, South Korea Delights

수리사바하요 2010. 2. 27. 15:00

작성자 : DBJ 아홍작성일 : 2010-02-27 03:03:00 조회 : 12035추천 : 6비추 : 0코맨트 : [20]

 

As Kim Raises the Bar, South Korea Delights
김연아 한계를 들어올리다, 한국의 기쁨


VANCOUVER, British Columbia — Dressed in azure, skating to Gershwin, Kim Yu-na of South Korea seemingly floated to the clouds with her soaring jumps and airy elegance Thursday night, winning an Olympic gold medal and her rightful place as one of the greatest women’s figure skaters ever.

거쉬인의 음악에 맞춰, 마치 구름 속에 떠 있는 듯한 스케이팅과, 솟구쳐 오르는 점프, 그리고 모든 것에 더하여 마치 공기처럼 가볍게 느껴지는 우아함을 보여준 이 푸른색 옷을 입은 남한의 소녀는 오늘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함으로써 그녀에게 걸 맞는, 여자 피겨스케이트 사상 가장 위대한 자리를 거머쥐었습니다.

Demonstrating technical superiority and ethereal grace at 19, Kim delivered a world-record performance of 228.56 total points. Math alone cannot fully describe the resourcefulness, complexity and art
istry of her skating, except in this context: Kim would have finished ninth in the men’s competition, nearly 10 points ahead of the American national champion, Jeremy Abbott.

기술적인 우수함과 천상의 우아함을 보여줌으로써, 김연아는 19세의 나이에 총점 228.96의 세계기록을 세웠습니다. 이 점수는 남자경기에서 9위를 할 정도의 점수이고 미국 챔피언인 제레미 애봇보다 10점이나 높은 점수입니다. 그러나, 단순히 이 점수만으로는 그녀의 스케이팅이 보여준 풍부함과 깊이, 그리고 예술성을 표현할 수 없습니다.

Mao Asada of Japan became the first woman to land two triple axels in a free skate at the Winter Games, but she still finished a distant second by more than 20 points. Even before Asada skated, she knew that her chances for gold were futile after Kim’s refined and charming performance.

“I could hear the crowd going crazy,” Asada said.

일본의 아사다 마오는 동계올림픽 프리스케이팅 사상 처음으로 두개의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켰지만, 1위에 20점이상 차이나는 2위로 만족해야 했습니다.  스케이팅을 하기 이전부터 이미 아사다는 김연아의 정제되고 매력적인 스케이팅뒤에 그녀가 금메달을 딸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을 알았을 것입니다.

“관중들이 미친듯이 열광하는 것을 들을 수 있었어요.” 라고 아사다는 말했습니다.

What the audience of 11,771 at Pacific Coliseum had witnessed was an unprecedented combination of technical difficulty and willowy sophistication as Kim became the first South Korean
skater to win an Olympic gold medal. She held up under enormous pressure to succeed as an athlete, a cultural icon and a vanquisher of competitors from Japan, which occupied the Korean peninsula for 35 years through the end of World War II.

“Today, I was more confident than ever,” Kim, the 2009 world champion, said.

퍼시픽 콜리세움에 있었던 11,771명의 관중이 목격한 것은 고난이도의 기술과 버드나무 같은 유연함과 정교함의 전무후무한 결합으로 김연아가 한국 최초의 금메달리스트가 되는 것이었습니다. 그녀는 선수로서, 문화적 아이콘으로서, 또한 이차세계대전 이전에 35년간 한국을 정복했던 일본을 이겨야 한다는 기대로부터 오는 거대한 심리적인 압력을 잘 이겨냈습니다.

“오늘 저는 이전까지보다 더 자신이 있었습니다.” 2009년 세계 챔피언인 김연아가 말합니다.

It is impossible to precisely compare skaters from different eras. Rules change. Athleticism increasingly demands its place alongside artistry. But a number of Kim’s gold medal predecessors were present Thursday, and all seemed thoroughly impressed that Kim had been so poised and lissome in her presentation and vaulting in her jumps.

다른 시대의 스케이터를 정확하게 비교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경기규칙의 변화 때문입니다. 스케이팅의 운동으로서의 측면이 예술적인 측면만큼 점점 더 강조되고 있습니다. 목요일 경기장에는 많은 역대 금메달리스트들이 있었는데, 그들 모두 김연아가 기술의 표현과 점프의 도약에서 좋은 자세를 취하면서 또한 유연한 것에 대해서 깊은 인상을 받은 듯이 보였습니다.

“How do you compare that to Sonja Henie?” said Kristi Yamaguchi, the 1992 Olympic champion, referring to the three-time gold medalist from Norway in the 1920s and 1930s. “Everything is relative to the time and era.”
Still, Yamaguchi added, “Certainly, it has taken women’s skating to another level. Technically. The whole package.”

92년 올림픽챔피언인 크리스티 야마구치는 “어떻게 Sonja Henie와 비교할 수 있을까요?” (Sonja Henie-20년대와 30년대에 걸쳐 올림픽을 3연패)라고 말합니다. “모든 것이 그 시대에 따라서 상대적인 것이거든요."

Assured, serene, Kim opened with a triple-lutz-triple-toe combination, a triple flip and a double-axel-double-toe-double-loop combination. Through four minutes of the challenging program, she skated with speed, lightness and engaging openness in a style that her coach, Brian Orser, calls unselfish and welcoming.

확신에 찬 듯, 또한 극히 평온하게 김연아는 트리플러츠-트리플토 컴비네이션과 트리플플립, 그리고 더블악셀-더블토-더블루프 컴비네이션으로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 이 도전적인 4분간의 프로그램에서 그녀는 매우 빠르고 가벼운, 또한 그녀의 코치인 브라이언 오서가 ‘이타적이고 환대하는 (unselfish and welcoming)’이라고 표현한 관객을 끌어당기는 개방적인 스케이팅을 보여주었습니다.

“She reaches the last row of the building,” Orser said beforehand. “People feel they’re invited to enjoy it as she is.”

“그녀는 빌딩의 마지막 층에 도달했습니다. 관객들은 그들이 이런 성취를 즐기기 위해서 초대받았다고 느낄 것입니다. 그녀도 마찬가지로 느낄 것이구요.”라고 오서가 전에 말했었습니다.

On Thursday Kim whisked like a feather across the ice.

이 목요일에 김연아는 빙판 위에서 마치 깃털처럼 날아다녔습니다.

“Technically, she’s the greatest of all time,” said Ted Barton, a Canadian who helped devise the new points-based scoring system. “If she skates a little longer and does this over the next three or four years, she will be the greatest skater of all time.”

신 채점기법을 만드는 것을 도왔던 캐나다인인 Ted Barton은 말합니다. “그녀는 기술적인 면에서는 역대 최고입니다. 만약 그녀가 좀 더 스케이트를 탄다면, 향후 3-4년 정도를 말이죠, 그녀는 시대를 뛰어넘는 최고의 스케이터가 될 것입니다.”

Scott Hamilton
, the 1984 men’s Olympic champion, compared Kim to Seabiscuit, the thoroughbred, as dominant athletes who broke their competitors’ will.

84년 세계 챔피언이었던Scott Hamilton은 김연아를 경쟁자의 의지를 꺾을 정도로 뛰어났던 서러브레드 종의 경주마였던 Seabiscuit에 비유했습니다.

“Yu-na has only been at the top of her game for a couple of years,” Hamilton said. “But if she’s here another four years at this level, a lot of skaters would break down. They would try to up their games so much, there would be injuries. There’s no weakness there. Compare her with anybody; she’s got it all. Under any system, anywhere, any time, she’d win.”

“유나가 이정도로 최고 수준의 경기력을 보여준 것은 불과 최근 몇 년입니다.” 해밀턴이 말합니다. “하지만, 그녀가 앞으로 몇 년간 이 수준을 유지하며 스케이팅을 한다면, 많은 스케이터들이 좌절하고 망가질 것입니다. 그들의 경기력을 김연아의 수준으로 향상시키려고 무리하게 노력하다 보면 부상당할 위험이 높습니다. 그녀는 약점이 전혀 없습니다. 그녀를 누구하고라도 비교해 보세요. 그녀는 모든 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경기방식이 변하건, 어디에서, 언제 스케이트를 타건 그녀가 이길 수 밖에 없습니다."

Encomiums have been handed to Kim here in bouquets, like flowers. Michelle Kwan, the two-time Olympic medalist, said, “She’s the fastest skater I’ve ever seen.”
Katarina Witt, the 1984 and 1988 Olympic champion, said, “She has a lightness to her skating and her jumps are very high.”

Dorothy Hamill, the 1976 Olympic champion, said: “She’s the whole package. Her jumps are soaring and they’re equal. You don’t have one big one followed by a little tiny jump. I think she’s grown choreographically. She’s very musical. The whole thing is very beautiful and athletic but not too athletic. I don’t feel like I’m missing anything when I watch her.”

그녀에 대한 찬사가 마치 꽃 다발처럼 쏟아졌습니다. 미셀콴은 “그녀는 내가 본 스케이터 중에 가장 빠릅니다.” 라고 칭찬했습니다. 84년과 88년 올림픽챔피언인 카타리나 비트는 “그녀의 스케이팅은 가볍고 점프는 매우 높았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76년 올림픽챔피언인 Dorothy Hamill는 말합니다. “그녀는 모든 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녀는 매우 높이 솟구치며 점프할 수 있는데 이 점프들이 균질적입니다. 만약에 두 번의 점프가 서로 질이 다르다면 좋지 않겠죠, 말하자면 큰 점프를 한 다음에 아주 작은 점프를 하는 식으로요. 그녀의 점프는 그렇지 않아요. 또 그녀는 안무에 매우 능하고 또 음악에 잘 맞추어 탑니다. 모든 것이 매우 아름다우면서도 스포츠로써의 운동감이 적절히 살아 있어요 (athletic but not too athletic). 그녀의 경기를 볼 때 아쉬운 점이라고는 하나도 없었습니다.”

Some believe that the new scoring system, with its incessant technical demands on jumps and steps and spins, does not allow skaters the same charisma and signature artistry afforded Peggy Fleming and Hamill and other stars from previous eras.

일부의 사람들은 점프,스핀, 스텝에 대한 끊임없는 기술적인 요구를 하게 하는 새로운 채점방식 때문에 이전시대의 페기플레밍이나 해밀과 같이 카리스마 넘치고 예술적인 스케이터가 나타나기 어려워졌다고 믿고 있습니다.

“As far as being renowned as a legendary artist, I don’t think so,” said Frank Carroll, who coached the fourth-place finisher, Mirai Nagasu of the United States, of Kim. “As a really great skater, technically, yes.”

“김연아가 전설적인 예술가로서의 명성을 가지게 될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라고 이번 경기에서 4위를 한 미라이 나가수의 코치인 프랭크 캐롤이 말했습니다. “기술적으로 진정 뛰어난 스케이터라고는 말할 수 있지만요.”

David Kitby
, an American coach and a technical expert, said: “Clearly, she’s the best girl, but it’s because she’s the best technician. She’s 70 percent sport, 30 percent art. Peggy Fleming was a real artist and real athlete. I don’t think that balance of art and sport is the Olympic champion this year.”

미국팀 코치이자 기술전문가인 David Kirby는 말합니다. “명백히, 그녀가 최고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그녀가 최고의 테크니션이기 때문이죠. 그녀의 경기는 70%의 스포츠와 30%의 예술의 결합이라고 봅니다. 페기플레밍이야말로 진정한 예술가이며 또한 동시에 진정한 운동선수였죠. 페기가 보여준 만큼의 스포츠와 예술의 이상적인 조화는 이번 경기에서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This will be seen as needless quibbling in South Korea, where Kim is the country’s most popular athlete. So intense was the interest in the Kim-Asada rivalry that Korean reporters and photographers began arriving at the arena 12 hours before Thursday’s competition, only to find that some of their Japanese counterparts had spent the night at the rink.

이런 말들은 한국에서는 쓸데없는 트집잡기로 들릴 것입니다. 한국 리포터들 사이에서 김연아-아사다 마오의 라이벌관계에 대한 관심이 얼마나 뜨거웠던지, 그들은 경기 12시간 전에 이미 경기장에서 진을 치고 있었습니다. 이 정도의 관심은 아예 전날부터 경기장에서 밤을 새웠던 일부의 일본에서 온 리포터들에게서나 볼 수 있었습니다.

“This is not sports, this is war,” Lee Jiseok, a reporter for the Daily Sports Seoul newspaper, said with a laugh. He and his colleagues had already prepared stories on Kim, her mother and her coach. “If she loses, we’re dead,” Lee said. “We’ll have to explain why she lost.”

“이건 스포츠가 아니라 전쟁입니다.” 일간스포츠기자인 이지석이 웃으며 말했습니다. 그와 그의 동료들은 이미 김연아와 그녀의 모친, 그리고 코치에 대한 기사를 준비해 놓은 상태입니다. “김연아 지면, 우린 죽은 목숨입니다. 그녀가 왜 졌는지 기사를 써야 할 테니까요.”

That would not be necessary as Kim won the most glamorous event at the Winter Games.

김연아가 동계올림픽에서 가장 빛나는 경기에서 승리함으로써 그들은 이런 염려를 할 필요가 없게 되었습니다.

“I think the whole nation is in front of the television,” said John Moon, chief of staff of the South Korean Olympic Committee. “Kim Yu-na is the country’s special sister. Every athlete is important
, but her medal is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s. She is beautiful. She’s our pride. I think the Koreans will have a lot of drinks.”

“모든 국민이 텔레비전을 보고 있었을거라고 생각해요.”라고 한국올림픽위원회의 존 문이 말했습니다. “김연아는 국민 여동생입니다. 모든 선수가 중요하지만, 그녀의 경기가 가장 중요합니다. 그녀는 아름답습니다. 그녀는 우리의 자존심이구요. 아마 한국에서는 술잔치가 벌어질 거에요.”

의역이 많습니다. 태클사절. 펌환영-소스명기(아침홍차).

[개소문 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