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아의 외신 및 해외반응

[펌]Diane Pucin의 LA 타임즈

수리사바하요 2009. 3. 30. 14:05



[LA 타임즈] 새 기사 하나 번역 - 뒷북이면 죄송


elodia


long_live_the_queen.jpg (62.1 KB)



Scoring system, Dick and Michelle, Kim Yu-Na and other thoughts
채점제, 딕과 미셀, 김연아 그리고 다른 생각들


4:00 PM, March 29, 2009


Came home from the final evening of the World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late Saturday night and watched my tape of the NBC broadcast. Wished there had been more Dick Button and Michelle Kwan.


월드 챔피언쉽의 마지막 저녁 경기를 보고 토요일 밤는게 집에 돌아와 NBC 방송 테이프를 보았다. 딕버튼이나 미셀콴같은 사람들이 더 있었으면 좋으련만.


Noticed that there didn't seem to be a mention of figure skating on ESPN all week. Maybe I missed it. If so, sorry. But, geez, the world championships are held in the United States, an American man, Evan Lysacek, is the surprise men's gold medalist, and about 18,000 people are brought to their feet in a standing awe-vation over a Korean skater named Kim Yu-Na -- who, if you're an avid watcher of ESPN you've now probably not heard of. It was sports news; it's worth covering the worldwide leader.


이번주 내내 ESPN에서 피겨스케이팅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는 생각이 떠올랐다. 내가 놓쳤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유감이다. 하지만, 월드 챔피언쉽은 미국에서 열렸고 미국의 에반 라이사첵이 놀랍게도 금메달 리스트이다, 그리고 만팔천명의 관객이 김연아라 불리리는 한국 선수에게 경외감을 표현하며 기립하였다. 당신이 ESPN만 고수하는 시청자라면 아마 지금도 금시초문일지도 모른다. 그것은 큰 스포츠 뉴스거리였다. 세계적인 정상을 다루는 것은 충분히 가치가 있는 일이다.


And about the skating. It was lovely, it was inspiring, it made this skating fan look forward to the Olympic season. For awhile, especially during the Tonya Harding-Nancy Kerrigan and Tara Lipinski-Michelle Kwan-Sarah Hughes years, I covered a lot of figure skating. I first wrote about Naomi Nari Nam and Sasha Cohen here too. I've been more removed from the sport since the new scoring system was installed, but I've heard much about how horrible it is and how it's taking away the artistry and making the sport a robotic, jump-by-numbers snoozefest.


(과거의) 피겨 스케이팅에 대해 말하자면, 즐거웠고, 영감적이었으며, 이런 팬(*필자 자신을 말하는 듯)이 올림픽 시즌을 기대하도록 만들었다. 한 동안, 특히 토냐 하딩 - 낸시 캐리건 그리고 타라 리핀스키 - 미셀 콴 - 사라 휴즈의 시대동안, 나는 많은 피겨 스케이팅을 다루었다. 나오미 나리 남과 샤샤 코헨에 대해서도 이 시절에 최초로 기사를 썼었다. 신채점제가 도입된 이후 점점 나는 이 스포츠에서 멀어지게 되었지만, 신채점제가 얼마나 끔찍하며, 어떻게 예술성을 앗아가 버리고, 피겨를 로보트같고 무수한 점프로 이루어진 지루한 이벤트로 만들어버렸는지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왔다.


But that's not what I saw this week at Staples. It wouldn't matter if you used numbers, letters or perfect 6's, 10's, 100's or 1,000's, Kim was graceful and athletic, interpreted her music, felt her moves, covered the ice, jumped like Kobe and landed them like a Tiger Woods chip shot: silently and without movement. I don't see how the new scoring system has hindered Kim's development in any way.


그러나 이번주 스테이플즈에서 내가 본것은 그런 것이 아니었다. 숫자를 이용하든, 문자나 혹은 6점 10점 100점 또는 1000점 만점의 점수제를 이용하든 하는 것들은 중요하지 않았다. 김연아는 우아하고 강건했으며, 자신의 음악을 해석하고 동작을 느끼며 은반 전체를 누볐고, 코비 (브라이언트) 처럼 점프했으며, 타이거 우즈의 칩샷처럼 착지했다(*착 달라 붙었다): 조용하고 흔들림 없이. 신채점제가 그녀의 발전을 어떤 식으로든 방해한 흔적을 찾아 볼 수가 없었다.


Lysacek didn't need a quadruple jump to win a world title. He needed to land his triples, feel his spirals, play on the ice as if he were a gallant 1940s gentleman dancing to Gershwin, which he did, and the scoring system didn't stop Lysacek from playing to his strengths.


라이사첵은 월드 타이틀을 따내기 위해 4회전 점프가 필요치 않았다. 그는 트리플 점프를 잘해내고, 스파이럴(*요소라기 보다는 활주의 의미인듯. 남자는 스파이럴이 없으니)을 느끼며, 거쉰(*작곡가 이름)의 음악에 맞춰 춤추는 정중한 1940년대의 신사인양 은반위에서의 연기를 해내기만 하면 되었다. 그는 해냈고, 채점제는 라이사첵이 자신의 최선을 이끌어 내는 것을 막지 못했다.


And it isn't the scoring system that is keeping the U.S. women behind Kim or Canada's Joannie Rochette or Japan's Mao Asada and Miki Ando. Can Del Mar's Rachael Flatt become a more musical, lyrical skater as she matures? Is Irvine's Caroline Zhang committed to the sport enough to rediscover the spark that made her a junior national champion? Will Arcadia skater Mirai Nagasu's foot heel? Will she be able to corral her talent and growth spurt and become the skater many think could challenge Kim and Asada? What if Cohen, who is living in Corona del Mar, decides to come back? Or Kwan (she teased NBC co-hosts Bob Costas and Button in Saturday's broadcast about whether she might make a comeback)?


미국 여자 선수들이 김연아나 캐나다의 조안니 로셰트 혹은 일본의 아사다 마오와 미키 안도에 뒤쳐지고 있는 것은 채점제(의 기술적인 측면) 때문이 아니다. Del Mar의 레이첼 플랫이 그녀가 성장했을때 보다 더 음악적이고 서정적인 스케이터가 될 수 있을 것인가? Irvine의 캐롤라인 장이 자신을 주니어 내셔널 챔피언으로 만들어 주었던 그 광채를 재발견 할 수 있을 만큼 이 스포츠에 확신을 가지게 될 것인가? Arcadia 스케이터 미라이 나가수의 발 뒤꿈치는? (*무슨 소린지--) 그녀가 자신의 재능과 성장 동력을 함께 잡아내어 많은 이들이 김연아와 아사다에게 도전할만 하다고 생각하는 선수가 될 수 있을 것인가? Corona del Mar에 살고 있는 코헨이 컴백을 결정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혹은 콴은? (그녀는 컴백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 NBC 진행자 밥 코스타스와 버튼에게 답을 얼버무렸다)


What I liked was that even after Kwan saw Kim's ethereal, athletic and dominating winning performance, she was not intimidated. And maybe she shouldn't be. The top female skaters are still only doing five or six triples in their long programs. That's what Kwan was doing up until her injuries forced her from the Turin Games.


내 마음에 들었던 것은 콴이 김연아의 천국과도 같은, 강건하고 압도적인 우승 연기를 본 후에도, 겁먹지 않았다는 것이다. 아마도 그럴 필요가 없을지도 모른다. 탑 여성 선수들은 롱 프로그램에서 여전히 단지 대여섯개의 트리플 점프만을 뛰고 있을 뿐이다. 그것은 바로 콴이 토리노 이후 부상으로 은퇴하기 까지 그녀가 늘 해오던 것이다. (* 과거에 비해 점프에 비약적인 발전이 있는 것은 아니고, 콴 시절과 크게 다를 것이 없기 때문에, 그의 표현력과 예술성이라면 겁먹을 필요가 없을 지도 모른다는 뜻 같습니다. 뭐 진짜 보기전까지는 아무도 모를 일이죠)


Should be a fun skating year leading to Vancouver. And a lot of the skating stories will be coming from Southern California. ESPN is opening its own studio out here next month. Maybe they'll even report on some of them!


밴쿠버 올림픽까지 재미있는 피겨의 한해가 되었으면 좋겠다. 많은 피겨 이야기들이 남부 캐롤라이나에서 들려올 것이다. ESPN은 다음달 여기에 스튜디오를 열 것이다. 아마도 그들 중 일부에 대해 보도를 할지도 모르겠다.


-- Diane Pucin



여왕님 닥찬이 있어서 번역해 봤습니다, 채점제나, 자국 선수 평가등에서 까리한 생각거리를 던지기도 하는데 뭐 어쨌든 미국도 여왕님을 두려워하고 있는 것만은 틀림없는 듯 합니다. 슬슬 외신도 그게 그거고 이제 고만해야겠습니다. 분명 여왕님은 이제 전세계의 눈앞에서 화려한 즉위식을 마친것은 확실하군요.


이젠, 심판들도 점수 장난 칠때 좀더 조심하지 않을 수가 없겠지요.

 

원문출처 : http://gall.dcinside.com/list.php?id=yeona&no=267014